[고민] 장고를 내려놓고 fastAPI로 갈아타야 하나?

장고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때쯤

FastAPI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었다.

생각보다 흥미로웠지만 장고에서 FastAPI로 갈아탔을때 장단점을 비교할 수 밖에 없다.

Google Gemini와 대화

Django: 견고하고 완벽한 기능을 갖춘 프레임워크

  • 특징:
  • 완전한 기능: ORM, 관리자 인터페이스, 템플릿 엔진, 보안 기능 등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합니다.
  • 대규모 프로젝트: 복잡하고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합니다.
  • 성숙도: 오랜 역사와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어 풍부한 자료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MVC 모델: Model-View-Controller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코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장점:
  • 빠른 개발: 기본적인 기능들이 제공되어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안정성: 오랜 시간 동안 검증된 프레임워크로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합니다.
  • 커뮤니티: 활발한 커뮤니티를 통해 다양한 문제 해결과 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.
  • 단점:
  • 학습 곡선: 기능이 많아 초보 개발자에게는 학습 곡선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.
  • 유연성: 모든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므로 필요 없는 기능까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FastAPI: 빠르고 현대적인 API 개발 프레임워크

  • 특징:
  • 고성능: ASGI(Asynchronous Server Gateway Interface) 기반으로 매우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.
  • 간결한 코드: Python의 타입 힌트를 활용하여 코드 가독성이 높고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.
  • 자동 문서화: OpenAPI(Swagger) 표준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API 문서를 생성합니다.
  • 비동기 처리: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 I/O 바운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.
  • 장점:
  • 빠른 개발: 간결한 코드와 자동 문서화로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
  • 높은 성능: 실시간 서비스나 API 서버에 적합합니다.
  • 현대적인 기능: 최신 웹 개발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발 환경을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.
  • 단점:
  • 커뮤니티: Django에 비해 커뮤니티 규모가 작아 정보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.
  • 기능 부족: Django만큼 완벽한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.
  • 어떤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할까요?

요약

  • Django:
  • 복잡하고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
  • 빠른 개발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
  • MVC 패턴을 선호하는 경우
  • FastAPI:
  • 고성능 API 개발
  • 빠른 개발과 현대적인 기능을 중시하는 경우
  •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활용하고 싶은 경우
  • 결론적으로, Django는 완벽한 기능을 갖춘 견고한 프레임워크이고, FastAPI는 빠르고 현대적인 API 개발에 특화된 프레임워크입니다.

참고:

velog 비교
네이버 블로그 비교

#장고 #fastAPI
WhatSup
2024년 9월 23일 8:25 오전
28개의 답변이 있습니다.

555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8 오전

555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-1 OR 2+402-402-1=0+0+0+1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-1 OR 2+978-978-1=0+0+0+1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-1' OR 2+75-75-1=0+0+0+1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-1' OR 2+540-540-1=0+0+0+1 or '3Vnx1x3k'='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-1" OR 2+130-130-1=0+0+0+1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*if(now()=sysdate(),sleep(15),0)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0'XOR(555*if(now()=sysdate(),sleep(15),0))XOR'Z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0"XOR(555*if(now()=sysdate(),sleep(15),0))XOR"Z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(select(0)from(select(sleep(15)))v)/'+(select(0)from(select(sleep(15)))v)+'"+(select(0)from(select(sleep(15)))v)+"/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; waitfor delay '0:0:15'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); waitfor delay '0:0:15'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 waitfor delay '0:0:15'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jKeGfTD9'; waitfor delay '0:0:15' 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 OR 565=(SELECT 565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) OR 936=(SELECT 936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-1)) OR 368=(SELECT 368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rg6Vy1YU' OR 679=(SELECT 679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UuiD4af6') OR 663=(SELECT 663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9JYLebJJ')) OR 280=(SELECT 280 FROM PG_SLEEP(15))--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*DBMS_PIPE.RECEIVE_MESSAGE(CHR(99)||CHR(99)||CHR(99),15)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'||DBMS_PIPE.RECEIVE_MESSAGE(CHR(98)||CHR(98)||CHR(98),15)||'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'"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555����%2527%2522\'\"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

@@V0i4t

fnfOzvSR
2025년 2월 25일 1:29 오전